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란

사업 개요

정의

  • 모든 학생에게 교육·복지·문화 지원 프로그램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하여학교생활 적응력 향상과 건강한 교육적 성장을 도모하여교육 기회 균등을실현

추진배경

  • 교육복지 대상학생의 낙인감 예방과 자존감 보호를 위해 교사 중심의교육복지 운영학교 확대를 추진하고(‘15~), 사업 대상을 모든 학생으로 전환함(‘17)
  • 교육복지 대상학생의 위기요인은 복합적으로 나타나고, 하나의 위기 요인이 다른 위기요인을 초래하므로, 한 요인에중점을 둔 지원이 아니라 진단을 통한 개별학생 맞춤형 통합 지원필요
  • 모든 학생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생활하고, 단 한명의 학생도 교육에서 소외받지 않기 위해 지역교육복지공동체 구축을 위한 공적 지원 필요
추진배경

대상학생

  • (참여대상) 교내 모든 학생
  • (고려사항) 참여대상이 전교생이기는 하나 사업 운영 시, 우선지원학생*이 우선적으로 참여 할 수 있도록 사업 과정에서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함

※ 우선지원학생 : 기초수급자 학생, 법정 차상위계층 학생, 한부모가족 보호 대상 학생, 중위소득 60% 이하 학생, 탈북 및 다문화 학생, 특수교육대상 학생, 그 밖에 학교장이 정하는 학생 (훈령 제3조 제1항)

추진체계

추진체계


기본방향

비전

행복한 배움으로 특별한 희망을 만드는

“교육복지 통합지원체계 구축”

목표

모든 학생 개개인의 행복 증진과 교육 성취 제고

학생의 인지 ‧ 정의 ‧ 사회 영역의 전인적 성장 지원

추진전략 학생 맞춤형 통합지원 지역교육복지공동체 구축‧운영
추진가치 회복탄력성 관계성 자발성 공동체성
중점과제
<핵심과제1>
학생 중심의 교육복지우선지원 실천
  • ① 학생 중심 맞춤형 교육복지 개입 지원 시스템 구축·운영
  • ② 교육복지 통합사례관리 모형 지속 개발 및 운영
  • ③ 교육기회 균등을 위한 교육복지우선지원 ‘다중안전망’ 모형 확립
<핵심과제2>
교육복지우선지원 행정의 내실화 및 기능 강화
  • ① 도교육청의 현장과의 소통강화 및 내실화
  • ② 교육지원청의 학교 현장지원 기능 강화
  • ③ 교육복지 전문인력 및 사업 담당자 전문성 신장을 위한 체계 마련
<핵심과제3>
지역 특색 살린 교육복지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
  • ① 특색있는 지역교육복지 네트워크 운영
  • ② 교육지원청 중심의 학생 발굴 및 지원을 위한 ‘교육복지안전망’ 구축 운영